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정보자료실

센터안내 비주얼 이미지

건강정보

홈 > 정보자료실 > 건강,영양,안전 > 건강정보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모델 구축을”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0/08/05/
  • 조회수 : 27

첨부파일 :

영유아의 장애 위험성을 판단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지역형 지원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어린이집 보육교사 등이 영유아의 장애 위험성을 인식해도 부모들의 거부감 탓에 치료 지원이 어려운 측면이 있고, 모든 아이에게 생애 초기부터 공정한 교육기회를 보장한다는 관점도 담겨있다.
 
16일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장애 위험 영유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를 내놨다. '장애위험 영유아'는 장애진단을 받지는 않았으나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했을 때 장애를 가질 수 있는 영유아를 말한다.
 
통계청 건강검진통계를 보면 영유아 검진의 '발달선별검사' 결과 '양호'에 해당하는 영유아 비율이 2012년 96.7%에서 2017년 87.7%로 줄어들었다. 연구를 진행한 백선정 연구위원은 “무상보육을 시행한 이후 어린이집 이용연령이 낮아지면서 기관에 적응하지 못하는 영유아들이 장애위험을 갖는 비율이 더 커진 사례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말했다.
 
가족여성연구원이 도내 어린이집 원장 및 보육교사 등 보육교직원 1193명과 도내외 육아종합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보육전문가 40여명을 대상으로 현장실태를 파악한 결과를 장애위험의 전형적인 특성을 보이기 시작하는 영유아 연령대는 만2세(38.6%), 만3세(25.4%), 만1세(14.5%) 순으로 장애위험군 연령이 만2세 전후 영아에서 가장 높았다.
 
또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를 발견하고 도움받는 과정에서 가장 방해되는 요인은 '부모와 의사소통 부족(원장 68.5%, 보육교사 61.9%)'이었다. 장애위험 영유아의 상태를 알렸을 때 부모의 반응은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원장(71.1%)과 보육교사(69.0%) 모두 '부모들이 인정하지 않는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인정한다'는 응답은 28.0%, 31.0%에 그쳤다. 장애위험 영유아 부모에게 전문기관의 발달 평가를 권하기 가장 어려운 이유로 '부모와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부모가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원장(73.3%)과 보육교사(72.9%) 모두 가장 많았다. 장애 위험 영유아 선별검사나 치료 지원 과정에서 부모의 인식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풀이된다.
 
게다가 장애위험 영유아가 보이는 주의력 결핍이나 공격성과 같은 문제로 보육교사의 52.6%가 감정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에 대한 심리적·정서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이 때문에 가족여성연구원은 ▲보육교직원에 대한 선별검사 역량 강화교육 ▲영유아 발달과정에 대한 부모교육 의무실시 ▲장애위험 영유아 DB 구축 ▲육아종합지원센터 전담인력 배치 등을 장단기 지원책으로 제안했다.
 
특히 장애 영유아 발견과 선별, 심층검사와 치료 지원 단계별로 경기도와 시·군 육아종합지원센터가 협업을 통해 추진할 시범사업 안을 별도로 제시했다. 백 연구위원은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정책은 모든 아이에게 생애 초기부터 공정한 교육기회를 보장한다는 관점에서 봐야 한다”며 “경기도 시범사업을 통해 지역형 지원 모델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남춘 기자 baikal@incheonilbo.com

출처 : 인천일보(http://www.incheonilbo.com)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