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자료실
육아소식지
홈 > 정보자료실 > 육아소식지
안전을 지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주세요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4/07/09/
- 조회수 : 34
첨부파일 :
안전.jpg (107 kb)
종종 아이의 안전 문제와 관련해 의견 차이를 겪는 부모들이 있다. 흔한 주제가 심부름이나 등하교시키기, 어린 나이에 휴대전화를 주는 문제들이다. 한 사람은 이런 얘기가 나오면 ‘우리 아이가 유괴, 납치, 성범죄를 당하면 어떡하지?’ 하며 아이의 안전과 위험을 떠올리는 반면 다른 한 사람은 ‘너무 오냐오냐 키우는 거 아니야? 심부름도 다니면서 크는 거지’라며 아이의 버릇을 걱정한다. 걱정이 많은 부모는 그렇지 않은 부모가 아이의 안전에 대해 걱정을 안 한다고 생각한다. 아이의 버릇을 걱정하는 부모는 아이를 너무 과보호해서 이 험한 세상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을까를 염려한다.
부부가 같은 사안을 두고 각각 다른 측면을 보고 있는 것이다. 마치 두 사람이 같은 커피를 마시면서 한 사람은 향에 대해서, 다른 사람은 가격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양새이다. 사실 두 사람의 말은 모두 맞다. 하지만 이런 경우 아무리 대화를 계속해도 서로 만족할 만한 접점을 찾을 수 없다. 대화를 나누면 나눌수록 상대가 자신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화만 난다. 이런 갈등이 생기면 부부 모두 불안해진다. 한 사람은 과보호로 아이가 험난한 세상에서 적응하지 못할까 봐 불안하고, 나머지 한 사람은 아이의 안전에 개의치 않는 배우자를 보면서 내가 저 사람 믿고 어떻게 살까 불안해진다.
부모의 이런 갈등을 아이는 어떻게 느낄까. 아이는 부모가 걱정하는 두 가지 측면을 다 보면서 부모의 마음을 오해한다. 너무 과보호만 한다고 걱정하는 부모에게는 ‘어떻게 나를 보호할 생각이 없을 수 있어?’라며 서운해한다. 안전을 지나치게 걱정하는 부모에게는 ‘아, 나를 꼼짝 못 하게 하는구나’라며 답답해한다. 모두 아이를 사랑하기 때문에 하는 생각인데도 아이는 두 사람 모두 자신을 힘들게 한다고 오해할 수 있는 것이다.
부모의 이런 갈등을 아이는 어떻게 느낄까. 아이는 부모가 걱정하는 두 가지 측면을 다 보면서 부모의 마음을 오해한다. 너무 과보호만 한다고 걱정하는 부모에게는 ‘어떻게 나를 보호할 생각이 없을 수 있어?’라며 서운해한다. 안전을 지나치게 걱정하는 부모에게는 ‘아, 나를 꼼짝 못 하게 하는구나’라며 답답해한다. 모두 아이를 사랑하기 때문에 하는 생각인데도 아이는 두 사람 모두 자신을 힘들게 한다고 오해할 수 있는 것이다.
부모 두 사람이 도저히 합의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를 만났을 때는, 가장 먼저 각자 다른 측면을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 서로의 시각이 다름을 인정하고 우선순위를 따지면서 두 사람의 의견을 모두 충족시킬 방법을 찾아야 한다. 상대방의 시각을 이해하고 그 방향에서 문제를 바라보면, 아마 상대방의 말도 그렇게 틀리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사실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수록 아이에게는 가르쳐줄 수 있는 것이 많다. 이런 경우도 두 사람이 바라보는 두 가지 측면을 아이에게 모두 가르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금 늦은 시간인데 할머니가 아이한테 집 앞 슈퍼마켓에서 두부를 사 오라고 한다고 치자. 한 사람은 아이의 안전이 걱정되고, 한 사람은 아이가 웃어른을 잘 도왔으면 하는 마음이다. 이런 경우 부모 중 한 사람이 아이와 함께 나가면 된다. “지금은 깜깜하고 늦었으니 혼자 나가는 건 위험해. 같이 나가서 심부름은 네가 하렴” 하고 아이한테 말한다.
부모가 서로 시각이 다르더라도, ‘안전’에 있어서는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생각하여 아이에게 구체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아이를 데리고 나가서 “이런 곳은 위험하니까 되도록 다니지 말고, 저 길로 다녀. 밖에서 화장실이 급할 때는 상가 화장실보다 문방구, 동네 마트 등 엄마도 잘 알고 있는 곳에 가서 부탁하렴”, 또 “누가 너를 잡아가려고 하면 소리를 지르거나 발로 차서 주변에 도움을 구해야 해” 등을 가르쳐야 한다. “혼자 다니면 큰일 난다!”라고 무조건 겁을 주지 말고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
단, 유아의 경우는 부모가 반드시 데리고 오고 데려다주어야 한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닐 경우 보호자가 통학 버스까지 아이를 직접 데려다주고 데리고 와야 한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부모가 함께 다니는 것이 좋고, 고학년 정도가 되면 혼자 다니게 하되,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밖이 어둑어둑해지는 시간에는 초등학교 고학년이라도 혼자 내보내지 말아야 한다.
위기의 상황에서 고학년은 몸집이 크기 때문에 누군가 납치하려고 하면 길바닥에 벌러덩 누워버리는 것이 유리하다. 이 시기 아이들은 팔보다 다리 힘이 세기 때문에 다리로 상대편의 가슴이나 성기 같은 급소 부위를 뻥뻥 차야 한다. 그러면서 주위에 도움을 청하는 소리를 지르면서 누군가 나타날 때까지 차에 타지 않도록 버텨야 한다.
더불어 요즘 아이들은 체력이 아주 부실하다. 기초체력은 위기 상황에 정말 필요하다.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부모가 시간을 내서 아이와 함께 운동하는 시간을 되도록 많이 갖는 것도 필요하다.
출처 : 동아일보, 오은영의 부모마음 아이마음
사실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볼수록 아이에게는 가르쳐줄 수 있는 것이 많다. 이런 경우도 두 사람이 바라보는 두 가지 측면을 아이에게 모두 가르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금 늦은 시간인데 할머니가 아이한테 집 앞 슈퍼마켓에서 두부를 사 오라고 한다고 치자. 한 사람은 아이의 안전이 걱정되고, 한 사람은 아이가 웃어른을 잘 도왔으면 하는 마음이다. 이런 경우 부모 중 한 사람이 아이와 함께 나가면 된다. “지금은 깜깜하고 늦었으니 혼자 나가는 건 위험해. 같이 나가서 심부름은 네가 하렴” 하고 아이한테 말한다.
부모가 서로 시각이 다르더라도, ‘안전’에 있어서는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생각하여 아이에게 구체적으로 가르쳐야 한다. 아이를 데리고 나가서 “이런 곳은 위험하니까 되도록 다니지 말고, 저 길로 다녀. 밖에서 화장실이 급할 때는 상가 화장실보다 문방구, 동네 마트 등 엄마도 잘 알고 있는 곳에 가서 부탁하렴”, 또 “누가 너를 잡아가려고 하면 소리를 지르거나 발로 차서 주변에 도움을 구해야 해” 등을 가르쳐야 한다. “혼자 다니면 큰일 난다!”라고 무조건 겁을 주지 말고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
단, 유아의 경우는 부모가 반드시 데리고 오고 데려다주어야 한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닐 경우 보호자가 통학 버스까지 아이를 직접 데려다주고 데리고 와야 한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부모가 함께 다니는 것이 좋고, 고학년 정도가 되면 혼자 다니게 하되, 위기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밖이 어둑어둑해지는 시간에는 초등학교 고학년이라도 혼자 내보내지 말아야 한다.
위기의 상황에서 고학년은 몸집이 크기 때문에 누군가 납치하려고 하면 길바닥에 벌러덩 누워버리는 것이 유리하다. 이 시기 아이들은 팔보다 다리 힘이 세기 때문에 다리로 상대편의 가슴이나 성기 같은 급소 부위를 뻥뻥 차야 한다. 그러면서 주위에 도움을 청하는 소리를 지르면서 누군가 나타날 때까지 차에 타지 않도록 버텨야 한다.
더불어 요즘 아이들은 체력이 아주 부실하다. 기초체력은 위기 상황에 정말 필요하다.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부모가 시간을 내서 아이와 함께 운동하는 시간을 되도록 많이 갖는 것도 필요하다.
출처 : 동아일보, 오은영의 부모마음 아이마음